‘나이든 백인 남성’이 장악한 음악계에 구색 맞추긴 싫다
[페미니즘으로 다시 듣기] 피비 브리저스, 21세기 새로운 록스타 ≪일다≫ ‘나이든 백인 남성’이 장악한 음악계에 구색 맞추긴 싫다지난 2월, 미국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 <세터데이 나잇 라이브>에서 음악가 피비 브리저스(Phoebe Bridgers)가 공연을 펼쳤다. 이 프로그램은 논란이 종www.ildaro.com지난 2월, 미국 버라이어티...
View Article“안 볼 권리”라니…혐오에 기생하는 정치는 이제 그만!
차별금지법 대표 발의한 장혜영 의원과의 인터뷰 2018년, 유튜버이자 인권활동가인 ‘생각많은 둘째언니’를 발견하고서 들떴던 기분을 잊지 못한다. 민주주의와 가난, 장애인권과 공존, 페미니즘과 연대에 관해 이야기하며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그를 보며 ‘이런 사람도 있구나’ 싶었던 놀라움은 직접 만나 인터뷰하고 나선 쾌감으로 변했다. 모처럼 느낀 희망의 순간이었다....
View Article후쿠시마 10년…‘피해’를 지워나가는 국가에 맞서다
“우리와 연결되어 달라” 후쿠시마 원전 고소단 단장 무토 루이코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10년은 ‘피폭 후의 세계’를 살아오고 있는 느낌입니다. 스스로의 인생 단계도 변하였고, 사고가 없었다면 있었을 시간을 잃어버린 채 다른 시간을 살아왔어요. 많은 원전 피해자가 같은 생각일 겁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후쿠시마 원전 고소단 단장인 무토...
View Article‘위안부’ 소송, 당신은 어떤 질문을 던질 것인가?
법원 선고 앞둔 ‘위안부’ 재판, 변호단의 한 사람으로서 묻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에게 법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며 일본과 한국에서 소송을 제기하였다. 일본에서 4차례 소송을 제기하였고, 그 중 한 소송의 하급심에서 승소하는 소중한 승리를 얻었으나, 결국 상급심에서 모두 패소하였다. ‘위안부’ 피해자들이 마지막으로 문을 두드린 곳이 한국의...
View Article‘사장님이 날 불법으로 만든대도, 돌아가지 않을래요’
사업장 이동의 자유 없어…성폭력에 쉽게 노출되는 이주여성노동자 ≪일다≫ ‘사장님이 날 불법으로 만든대도, 돌아가지 않을래요’2016년, 캄보디아 20대 여성 니어리(가명) 씨는 경기도 이천의 한 비닐하우스 농장에서 혼자 일을 했다. 그런데 사업주는 니어리 씨에게 저녁마다 전화를www.ildaro.com2016년, 캄보디아 20대 여성 니어리(가명) 씨는...
View Article어둠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그림책 『미드나잇 드라이버』와 『터널』의 세계에 접속하다 그것은 썸도 데이트도 섹스도 아니다빈번하게 발생하지만, 은밀하게 감춰지는 데이트 강간과 ‘아는 사람’에 의한 성폭력.미국 전역 32개 대학 6천100여 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낯선 사람에 의한 성폭력이 더 흔할 것이book.naver.com 최근에 흠뻑 빠져든 그림책이 있다. 별똥별이...
View Article학교폭력 안 당하려면 페미니즘 의견 표명하지 마라?
여성혐오에 반대하는 발언한 이후, 내가 겪은 집단적 괴롭힘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사회book.naver.com 내가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View Article여성성/남성성을 벗어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제는 페미니즘] 성적 차이를 지닌 존재로서 ‘주체’되기 ‘페미니즘 교육’의 개념과 의제, 실천의 역사와 현재성을 탐색하고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본 “이제는 페미니즘” 연재 마지막 글입니다. 이 연재의 필진은 젠더교육연구소 이제IGE 연구원들로, 이제IGE는 페미니즘 교육에 관한 연구와 활동을 펴고 있는 여성학 연구자 집단입니다. <편집자 주>...
View Article홍콩은 지금 어디를 향해 가고 있을까
국가안전유지법 시행 이후의 홍콩 사회를 전하다 나의 살던 북한은북한 출신 여성이 들려주는북한의 음식과 술, 대중문화, 가정과 양육, 노동과 일상 평범한 북한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갈까?만약에 남북한 사람들이 같이 만나서 생활해야 한다면 우리는 어떻게book.naver.com홍콩에서는 2019년에 다시금 불붙은 대규모 민주화 시위 이후, 민주화 운동 인사에 대한...
View Article생활툰 속 여성의 일상이 보여주는 것들
[페미니스트의 책장] <낢이 사는 이야기>부터 <모죠의 일지>까지 ≪일다≫ 생활툰 속 여성의 일상이 보여주는 것들웹툰의 추억 2000년대에 청소년 시절을 보낸 나는 학교 수업이 끝나면 조용히 집에 돌아와서 곧바로 컴퓨터의 전원을 누르곤 했다. 그때는 보호자가 모www.ildaro.com웹툰의 추억 2000년대에 청소년 시절을 보낸 나는...
View Article“총, 카르텔, 마약”이 없는 멕시코 이민자들의 서사
넷플릭스 시리즈 <헨테파이드> “멕시코의 주 5개만 이야기해봐”, “탈리아(’라틴팝의 여왕’이라 불리며 멕시코에서 가장 유명한 아티스트로 꼽히는 인물)가 나오는 드라마 제목을 세 개만 말해봐.” ▲ 넷플릭스 시리즈 헨테파이드 중에서 ©Netflix 멕시코에 관한 퀴즈로 열기가 뜨거운 현장은 미국 LA에 위치한 어느 고급 레스토랑의 주방. 백인 셰프...
View Article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인사 “살아있음을 신고합니다”
꽃을 던지고 싶다, 그 후 10년 일다 언론사홈언론사 주요 뉴스와 속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media.naver.com10년이다. 하루하루 나도 모르게 내려앉은 먼지처럼 10년이라는 시간은 어느덧 그렇게 쌓여 있다. <일다>에 실은 글들은 내가 경험했던 끔찍한 폭력이 어떻게 내 삶을 관통했는지에 대한 이야기였다. ‘성폭력의 경험이 말해지기...
View Article전기차, 수소차…’저공해차’의 불편한 진실
[베를린에서 온 기후편지] 무한정 찍어내면 탄소중립 가능할까? 다정한 날들[다정한 날들]은 저자가 경남 함양의 작고 평범한 시골 마을에서 머물며 자연의 흐름을 따라 살아가는 작가 자신의 모습과 그 여정을 담은 수필집이다. 도시를 떠나 자연 속에 터전을 잡고 살아book.naver.com한국에서 오랫동안 환경보호를 실천하고 있는 한 친구가 자신의 근황을...
View Article이제 정말 이 사회의 “과로를 멈춰야 한다”
과로사·과로자살 유가족의 목소리 『그리고 우리가 남았다』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사회book.naver.com“아빠가 힘들게 일하다 떠난...
View Article젊은/흑인/여성이 음악 시장에서 살아남는 법
[페미니즘으로 다시 듣기] 독자적인 길을 걷는 빅토리아 모넷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사회book.naver.com얼마 전 테야나...
View Article여성과 소수민족이 소외되지 않는 미얀마의 민주화 꿈꿔요
미얀마 청년 페미니스트 난다 인터뷰[하리타의 월경越境 만남] 독일에서 기록 활동을 하고 있는 하리타님이 젠더와 섹슈얼리티, 출신 국가와 인종, 종교와 계층 등 사회의 경계를 넘고 해체하는 여성들과 만나 묻고 답한 인터뷰를 연재합니다. 2월 1일, 깰 수 없는 악몽이 시작되었다 지난 2월 1일 월요일, 미얀마의 양곤 시에 있는 한 아파트. 난다(Nandar)가...
View Article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사람들 ‘태생을 알 권리 요구한다’
산더미 같은 문제를 안은 채 통과된 일본 생식보조의료법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사회book.naver.com난자, 정자 공여와 대리출산 등...
View Article나의 기대주, 중년 여성 배우들에게
[극장 앞에서 만나] ‘엄마’역이 아닌 중년 여배우들의 세계 나의 살던 북한은북한 출신 여성이 들려주는북한의 음식과 술, 대중문화, 가정과 양육, 노동과 일상 평범한 북한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갈까?만약에 남북한 사람들이 같이 만나서 생활해야 한다면 우리는 어떻게book.naver.com영화 <물물교환>(조세영 감독, 2015) 안민영 배우,...
View Article한국사회 구성원인 이주농업노동자들의 얼굴과 목소리
더이상 이주노동자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 머물지 않기를! 일다 언론사홈언론사 주요 뉴스와 속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media.naver.com여기, “당신의 음식은 우리의 눈물로 만들어졌다”라고 외치는 이주농업노동자들이 있습니다. 방금, 우리가 먹었던 미나리와 버섯 반찬이 이주노동자들의 눈물로 만들어진 사실을 외면한 채, 건강하고 맛있는 식사를 했다고...
View Article‘위안부’ 문제는 무슨 죄목으로 어디에 소장을 내야할까?
맥두걸 보고서에서 제시한 국제법상 다섯 가지 범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국제법을 통해 실마리를 찾는 [위안부 X 국제법] 세미나 연재의 앞선 두 개의 글에서 장수희 선생님이 UN 보고서 읽는 법과 더불어 맥두걸 보고서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를 해주었다. 평소에 국제법을 포함해서 법이라곤 전혀 접하지 못했던 분들이라도 이전 기사들만 읽어보면 대충 감을...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