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세대’를 넘어 ‘지구 세대’로 살아가는 청년들
지도에는 없는 머시기마을 이야기④ <지리산게더링>과의 만남 땅도 없고 돈도 없지만 우리는 ‘머시기마을’이라는 이름 안에서 계속 생존신고를 하고, 글을 쓰고, 노래를 부른다. 나는 대전 지역에 살고 있으니 스스로 ‘대전 사람’이라 여기면서 동시에 ‘머시기마을 주민’이라고 스스로 정체화한다. 머시기마을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바람은 머시기마을이 어떻게...
View Article팔려 가고 학대받는 소녀들…아이들만 남은 집
코로나19 확산 이후, 네팔의 ‘일하는 아동’ 실태 르포 (중편) 한 달여 전인 2021년 12월 13일부터 20여 일간, 네팔에서 70명의 일하는 아이들을 만났다. 나는 <바보들꽃>이라는 단체 소속으로, 네팔의 어린이노동자들에게 학교에 다닐 권리를 보장하고 인권을 보호하는 ‘희망의 언덕’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View Article“차별금지법 있는 나라”에서 살고 싶다
도보행진부터 유세단까지…차별금지법제정연대 이종걸 공동대표 인터뷰 성별, 장애, 나이, 언어, 출신국가, 민족, 인종, 국적, 피부색, 출신지역, 용모 등 신체조건, 혼인여부, 임신 또는 출산, 가족 및 가구의 형태와 상황, 종교,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형의 효력이 실효된 전과,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학력, 고용형태, 병력 또는 건강상태, 사회적 신분...
View Article“같이, 혼자 사는 사람들”
[극장 앞에서 만나] 홍성은 감독 <혼자 사는 사람들> 18살 여름방학, 고독이 밀려왔다. 인간관계는 다 부질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생은 혼자다. 혼자 사는 것이다. 그렇게 되뇌며 2학기를 맞이했다. 아무하고도 대화하지 않았다. 나의 급변한 변화에 친구들은 편지를 써주었지만, 난 그 다정함을 오지랖이라고 생각했고 내민 손을 잡아주지 않았다....
View Article쓰레기 정치를 시작하자
2022 대선 기획: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라⑥ 탈 플라스틱 최근 몇 년간 각종 매체에서 전 지구적 쓰레기 재앙에 대해 보도하고, 시사는 물론 예능 프로그램까지 쓰레기 문제를 다루고, 에코브리티(Ecobrity=Eco+Celebrity) 또는 그린 인플루언서라 불리는 연예인들도 늘어나면서 자원순환운동(Zero Waste Campaign)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View Article살아냄으로써 투쟁하는, 동물권 활동가 ‘새벽’과 ‘잔디’
지도에는 없는 머시기마을 이야기⑤ 새벽이생추어리 방문기▶ 애정결핍과 공동의존의 회복 『남은 인생은요?』 남은 인생은요?국계 이민자, 90년생 성sung이 시카고에서 쓴 트라우마 치유 에세이한국과 미국 두 문화를 가로질러 살아가는 세대의 이전에는 없었던 다른 목소리와 놀라운 서사『남은 인생은요?』는 미국에서book.naver.com 몇 해 전, 회사에서...
View Article“우리 딸을 데려가 주시겠어요?”
▶ 열두 가지 재밌는 집 이야기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제 삶을 따뜻하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여성 열두 명이 밀도 있게 들려주는 주거생애사이자, 물려받은 자산 없이는 나다움을 지키면서 살아갈 곳을 찾기 어려워 고개를 떨구는 독자들에게 조심스www.aladin.co.kr 코로나19 확산 이후, 네팔의 ‘일하는 아동’ 실태 르포...
View Article성범죄 미성년 피해자를 가해자 앞에 세울 것인가?
아동·청소년 성폭력 피해자 영상녹화진술 ‘위헌’… 대안입법 논의▶ 애정결핍과 공동의존의 회복 『남은 인생은요?』 남은 인생은요?국계 이민자, 90년생 성sung이 시카고에서 쓴 트라우마 치유 에세이한국과 미국 두 문화를 가로질러 살아가는 세대의 이전에는 없었던 다른 목소리와 놀라운 서사『남은 인생은요?』는 미국에서book.naver.com 성폭력 범죄의...
View Article피해자 김지은, 김잔디…세상을 고발하고 바꾼 노동자
▶ 데이트폭력, 가스라이팅의 전모를 밝힌 책! 당신의 연애는 안전한가요데이트 초기부터 헤어짐, 이별 후 과정까지 피해자의 눈으로 낱낱이 재해석하며, 데이트폭력이 일어나는 과정을 속 시원하게 보여주며 데이트폭력의 전모를 밝힌 책이다. 책의 전체 구성은 연book.naver.com 책 <김지은입니다>와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 ‘보통의...
View Article‘아들의 마더’에 관한 서늘한 탄생설화
[만만찮은 그녀들의 이야기]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 새▶ 초등학생 아들과 '성'에 관하여 나눈 대화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View Article고졸 노동자, 우리는 부족한 사람이 아닙니다
[싸우는 여자가 이긴다] 고졸 취업자 동아리 ‘처음처럼’ 보람과 성현 *‘싸우는 여자들 이야기’를 기록한다. 지금 내가 선 자리를 지키는 일도, 정해진 장소를 떠나는 일도, 너와 내가 머물 공간을 넓히는 일도, 살아가는 일 자체가 투쟁인 세상에서 자신만의 싸움을 하는 여/성들을 만났다. 세상이 작다거나, 하찮다거나, 또는 ‘기특하다’고 취급하는 싸움이다....
View Article다름을 마주하는 공간, 머시기마을에 초대해!
지도에는 없는 머시기마을 이야기⑥ 2021 ‘글파티’-우리가 이어 말한다 H에게. 안녕? 잘 지내니. 쌀쌀한 날씨에 내복은 두툼하게 잘 입고 다니는지 궁금하다. 너는 자주 추위가 싫어서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말했잖아. 우리 집 앞 내리막에 빙판이 얼어 있을 때마다 나는 너희 집 앞 골목의 자주 어는 계단을 생각해. 조심조심 몸을 틀어서 내려가고 있을 너의...
View Article공정 담론을 넘어서는 페미니즘 교육을 모색하기
<페미니즘 교육은 가능한가>를 읽고▶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인 대화 페미니스트 엄마와 초딩 아들의 성적 대화아들 성교육이 사회를 바꾼다 미투(#MeToo) 확산, 성평등한 성교육의 중요성 부각 초딩 아들, 영어보다 성교육! 미투(#MeToo) 운동이 사회 전반을 휩쓸고 있다. 이는 달리 말하면, 그만큼 우리...
View Article인생이 뒤집힌 것 같을 때 새로운 세계가 열린 건지도 몰라
아테네 멜레세 글‧그림 『키오스크』 이른 아침, 가판대 문 앞에 배달온 신문 뭉치를 안으로 들여놓으며 하루를 시작하는 여자가 있다. 그림책 『키오스크』(아테네 멜레세 글‧그림, 김서정 옮김, 미래아이)의 주인공 올가의 이야기이다. 올가는 신문이나 잡지, 복권을 파는 가판대, 키오스크를 지키며 산다. 친절하고 일에 능숙한 올가는 단골손님들 취향도 다 꿰고...
View Article‘기지촌엔 도깨비가 산다’ 어떤 죽음들의 이야기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김동령, 박경태 감독 인터뷰 경기도 의정부 뺏벌/빼벌 마을은 한국전쟁 후 미군부대 주변에 기지촌으로 형성된 곳이다. ‘한번 빠지면 빼도 박도 못한다’고 해서 뺏벌이라고 불린다는 이곳. 여기서 살아남은 여성이 있다. 박인순. “남들은 운이 좋아서 살아남았다고 했지만, ‘내가 강해서’ 살아남았다”고 말하는 사람. 어릴 적...
View Article누군가를 희생양으로 삼는 경제 시스템을 멈춰야 한다
요리연구가 에다모토 나호미에게 듣다 (상) 일본의 요리연구가 에다모토 나호미(枝元なほみ) 씨는 따뜻하고 편안한 웃음과 말솜씨로 맛있는 요리를 뚝딱 소개해준다. 요리만 연구할 뿐 아니라 한편으로는 일본의 농업이 처한 상황에 마음 아파하고, 비영리법인 ‘빅이슈기금’ 공동대표를 맡아 빈곤 문제에도 관여하고 있다. 에다모토 씨 자택을 찾아가서 부엌을 안내받으며...
View Article순환경제를 통해 노숙인 일자리 창출! ‘밤의 빵집’을 열어요
요리연구가 에다모토 나호미에게 듣다 (하)▶ 열두 가지 재밌는 집 이야기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제 삶을 따뜻하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여성 열두 명이 밀도 있게 들려주는 주거생애사이자, 물려받은 자산 없이는 나다움을 지키면서 살아갈 곳을 찾기 어려워 고개를 떨구는 독자들에게 조심스www.aladin.co.kr요리연구가...
View Article‘낙태죄’ 없다고 임신중지 권리가 보장된 건 아니다
2022 대선 기획: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라⑦ 성과 재생산의 권리 얼마 전, 원치 않는 임신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한 책 <턴어웨이: 임신중지를 거부당한 여자들>(다이애나 그린 포스터 지음, 동녘)이 국내에 번역 출간됐다. 나는 이 책을 한국어로 옮기면서, 책의 배경이 된 미국의 상황과 ‘낙태죄’가 폐지된 한국의 상황을 자주...
View Article나는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죽을 수 있을까?
[젠더의 경계 위에서] 부치가 마주하는 장례문화※ [젠더의 경계 위에서] 시리즈에선 확고한 듯 보이는 ‘여성’과 ‘남성’이라는 성별 이분법에서 벗어난 다양한 경험과,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도전과 생각을 나눕니다. 일다 ▶ 열두 가지 재밌는 집 이야기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제 삶을 따뜻하고 꿋꿋하게...
View Article구름마을 노인들의 단추 비빔밥 안에 든 것
<여성과 오브젝트> 단추: 불안한 삶을 잇고 여미는 방식▶ 열두 가지 재밌는 집 이야기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제 삶을 따뜻하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여성 열두 명이 밀도 있게 들려주는 주거생애사이자, 물려받은 자산 없이는 나다움을 지키면서 살아갈 곳을 찾기 어려워 고개를 떨구는 독자들에게...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