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26"><span style="color: #009a87;"><b><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페미니스트 국어 선생들이 말하는 ‘요즘 학교 어떤가요’③</span></b></span></h2>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이제껏 국어 시간에 만난 시인들을 한 명씩 불러보자. </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b><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8a3db6;">윤동주, 백석, 이육사, 김소월, 한용운, 박목월, 박두진, 유치환, 이용악, 서정주…. </span></b></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익숙한 호명에 몇몇은 얼굴까지도 또렷이 떠오른다. 그들은 국어교육 내에서 더는 도전받지 않는 뚜렷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들의 위상은 너무도 확고하여 일견 깊은 해자와 웅장한 산세로 둘러싸인 견고한 성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그런데, 문학사적 업적이나 지명도 외 그들의 공통점을 찾아보라고 하면 선뜻 떠오르지 않을 것이다. 숨 쉬듯 익숙한 것이라 그런지도 모른다. 바로 작가의 성별이다. 전부 남성인데, 왜 학창 시절에는 이러한 생각을 하지 못했을까 의아할 정도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table style="border-collapse: collapse; width: 100%;" border="1" data-ke-align="alignLeft">
<tbody>
<tr>
<td>
<div><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filename="3_2.jpg" data-origin-width="960" data-origin-height="600"><span data-url="https://blog.kakaocdn.net/dn/b6QFHD/btrThe6Lg7R/rr19mGoZRdWgKKsqZn4cik/img.jpg" data-lightbox="lightbox"><img src="https://blog.kakaocdn.net/dn/b6QFHD/btrThe6Lg7R/rr19mGoZRdWgKKsqZn4cik/img.jpg"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6QFHD%2FbtrThe6Lg7R%2Frr19mGoZRdWgKKsqZn4cik%2Fimg.jpg"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data-filename="3_2.jpg" data-origin-width="960" data-origin-height="600"/></span></figure>
<span style="color: #000000; font-family: 'Noto Serif KR'; letter-spacing: 0px;">▲ 학생들이 국어교육을 통해 만나게 되는 시인들의 성별 편향성을 보완하고, 문학의 더 넓은 세계를 탐험할 수 있게 돕기 위해, 여성 시인들의 작품을 발굴했다. (이미지 출처: pixabay)</span></div>
</td>
</tr>
</tbody>
</table>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대 시 참고서의 목차(『해법 문학 현대 시 (2023년용)』 천재교육, 2019)를 보면, 여성 작가의 작품은 234편 중 38편뿐이다. 심지어 이 수치는 여태껏 보아온 것 중에서 가장 높다. 기존의 문학사가 성별 대표성을 고려하는 데에 이만큼 무심했다는 걸 구체적으로 확인하니 안타까움에 한숨이 절로 난다. </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더군다나 이러한 성별 편향이 오랫동안 누적되어 온 결과임을 생각하면,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국어 교사로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해보기로 했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현재 근무 중인 중학교는 국어 수업 네 시간 중에서 세 시간은 교과서 수업을, 한 시간은 시 감상 수업을 한다. 1학년 자유학년제의 연장선 격으로, 학생들은 매주 한 편의 시를 읽고 이를 필사한 뒤 감상을 적고 자신이 이해한 바를 바탕으로 시화를 그린다. 전입 첫해에는 교과서 수업을 전담하기도 했고 새 학교에 적응하는 데 온 신경을 쏟느라 다른 수업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관심을 가질 여력이 없었다. 하지만 둘째 해에는 같은 학년을 지도하는 선생님과 절반씩 나눠 들어가게 되면서 비로소 시 감상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대부분의 학교에서 업무 분장이 2월 셋째 주 정도에나 발표되기 때문에, 처음 맡는 업무일 때는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보다 작년에 했던 것부터 숙지하고 그대로 하기 쉽다. 나 역시 그랬다. 동료 선생님이 준 시 목록을 그대로 인쇄해서 학생들과 수업 시간에 나누었다. 그 목록에서 열의 여덟은 남성 작가의 자리였다. 우선은 이미 정해진 목록을 충실히 하되, 2학기 평가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반드시 개선하겠노라며 의지를 다지고 틈틈이 여성 작가의 좋은 작품을 수집했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figure class="imageblock alignCenter" data-ke-mobileStyle="widthOrigin" data-filename="talk_ban_s.jpg" data-origin-width="250" data-origin-height="204"><a href="http://www.ildaro.com/bbs.html?Table=ins_bbs1&mode=view&uid=570&page=1§ion=" target="_blank"><img src="https://blog.kakaocdn.net/dn/dFu5pC/btrTk3CHDeg/j4JED64k4R81R48KhVe6Hk/img.jpg" srcset="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Fu5pC%2FbtrTk3CHDeg%2Fj4JED64k4R81R48KhVe6Hk%2Fimg.jpg" onerror="this.onerror=null; this.src='//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this.srcset='//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data-filename="talk_ban_s.jpg" data-origin-width="250" data-origin-height="204"/></a></figure>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그리하여 2학기를 시작하기 전에 교과 협의를 할 때는 지난 학기에 가졌던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시 목록을 정할 때 기계적인 성비 1:1은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떨지 제안했다. </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b><span style="color: #8a3db6;">여성 작가의 좋은 작품이 없는 것도 아닌데 전체의 2할에 그치는 건 아쉬운 일이며, 학생들에게도 ‘잠재적 교육과정’(학교의 물리적 조건, 지도 및 행정적 조직, 사회 및 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학교에서는 의도하고 계획 세운 바 없으나,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은연중에 가지게 되는 경험을 뜻함. 『교육학용어사전』 1995)으로서 남성 작가의 작품이 더 가치 있다는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도 있다</span></b>. 그러니 우리에게 가능한 선에서 여성 작가의 작품을 발굴해 추가하는 편이 좋겠다고 말이다.</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다행히 이런 의견을 동료 교사가 수긍해주어 목록을 선정하는 일은 나에게 맡겨졌다. 기대감과 책임감을 안고 부지런히 찾아보았다. 최근 교과서 또는 EBS 수능특강 등에 실린 작품 외에도 짬이 날 때마다 시집을 읽으며 학생들에게 울림을 줄 수 있을 시를 스크랩해두었다. </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 color: #000000;">그리하여 2학기 시 수업에서 학생들은 고정희와 황인숙, 정끝별과 한강, 강은교와 같이 이전에 비해 높은 비중의 여성 작가들을 만나며 문학의 더 넓은 세계를 탐험할 수 있었다. <b><span style="color: #ef5369;">(계속)</span></b></span></p>
<p style="text-align: justify;" data-ke-size="size16"> </p>
<div>
<h4 data-ke-size="size20"><span style="color: #006dd7;"><b><span style="font-family: 'Noto Serif KR';">[기사 전체 읽기] <a style="color: #006dd7;" href="https://ildaro.com/9468">국어 시간에 여성 시인 만나기 - 성평등 국어교사모임</a> - <a style="color: #006dd7;" href="https://ildaro.com/9468" target="_blank" rel="noopener">https://ildaro.com/9468</a></span></b></span></h4>
<figure id="og_1670758993006" contenteditable="false" data-ke-type="opengraph" data-ke-align="alignCenter" data-og-type="article" data-og-title="≪일다≫ 국어 시간에 여성 시인 만나기" data-og-description="[기획의 말] 페미니스트로 살고자 하는 국어 교사들이 모여 교실과 학교에서 성평등한 국어 교육을 펼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성평등 국어교사" data-og-host="www.ildaro.com" data-og-source-url="https://ildaro.com/9468" data-og-url="https://www.ildaro.com/9468"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lyXwZ/hyQQq8pdYj/3Aw85aR9zakPNxvVwj5sK0/img.jpg?width=850&height=472&face=0_0_850_472,https://scrap.kakaocdn.net/dn/sm3LF/hyQQrlTUcw/m8N32RRvkzLBYlGXkGLXR1/img.jpg?width=850&height=472&face=0_0_850_472,https://scrap.kakaocdn.net/dn/PehRo/hyQRHHr8yM/2PIxXN2M8W8O5KyKhKCZeK/img.jpg?width=750&height=500&face=0_0_750_500"><a href="https://ildaro.com/9468"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source-url="https://ildaro.com/9468">
<div class="og-image" style="background-image: url('https://scrap.kakaocdn.net/dn/lyXwZ/hyQQq8pdYj/3Aw85aR9zakPNxvVwj5sK0/img.jpg?width=850&height=472&face=0_0_850_472,https://scrap.kakaocdn.net/dn/sm3LF/hyQQrlTUcw/m8N32RRvkzLBYlGXkGLXR1/img.jpg?width=850&height=472&face=0_0_850_472,https://scrap.kakaocdn.net/dn/PehRo/hyQRHHr8yM/2PIxXN2M8W8O5KyKhKCZeK/img.jpg?width=750&height=500&face=0_0_750_500');"> </div>
<div class="og-text">
<p class="og-title" data-ke-size="size16">≪일다≫ 국어 시간에 여성 시인 만나기</p>
<p class="og-desc" data-ke-size="size16">[기획의 말] 페미니스트로 살고자 하는 국어 교사들이 모여 교실과 학교에서 성평등한 국어 교육을 펼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성평등 국어교사</p>
<p class="og-host" data-ke-size="size16">www.ildaro.com</p>
</div>
</a></figure>
<p data-ke-size="size16"> </p>
</div>
↧